티스토리 뷰

반응형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

APEC 참가의 경제적 가치는 전시·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표준·규제 협력, 조달·금융 네트워크 확장으로 귀결됩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전·가스터빈·수소·풍력·담수·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공급망 안정, 수출 확대, 현지화 전략을 동시에 추진해야 실적과 밸류에이션의 재평가를 이끌 수 있습니다. 본 글은 APEC 계기 효과를 세 축(공급망·수출·현지화)으로 나누어 실무 체크리스트와 실행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공급망: 조달 탄력성과 품질·납기의 동시 달성

APEC 기간에 체결되는 양해각서와 파트너십은 이름값보다 실행력이 중요합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공급망 우선 과제는 ①핵심 부품 내재화, ②중복 소싱, ③위험 공유 계약, ④디지털 가시성입니다. 원전·가스터빈·풍력의 크리티컬 경로(로터·블레이드·후판·베어링·제어계·압력용기·열교환기)에 대해 2~3개 지역의 이중화 소싱 체계를 구축하고, 지정학·물류 차질·수출통제 리스크에 대비한 대체 BOM을 미리 승인받아야 합니다. 계약 조건에는 가격연동(후판·니켈·구리 등 원자재), 환율 슬라이딩, 운임 서차지를 명시해 급격한 비용 변동을 흡수하는 ‘위험 분담형’ 구조를 채택합니다. 품질·납기 측면에서는 선행검증과 표준화가 핵심입니다. 국제 규격(ASME, ISO, IEC)과 선진국 규제기관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글로벌 공용 규격을 사내 표준으로 내재화하고, APEC 회원국의 시험·인증 상호인정(MRA) 트랙을 활용해 중복 시험·검사를 줄입니다. 협력사 등급제는 단순 가격·납기 중심에서 벗어나 공정능력(Cpk), CAPA 리드타임, ESG 리스크, 사이버보안 수준까지 포함한 다차원 평가로 고도화해야 합니다. 공급망 가시성은 도면·자재명세(BOM)·공정계획·시험성적서·납품서류의 실시간 추적을 의미합니다. PLM·MES·SRM을 연동해 변경 이력과 승인 상태를 한 화면에서 확인하고, 선행 부품의 ‘가상 시운전’(디지털 트윈)으로 설계 결함을 조기에 제거해야 현장 리워크와 일정 지연을 줄일 수 있습니다. APEC 네트워크를 통해 조달 금융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정책금융·ECA 보증(수출신용·첨단산업 지원), 공동 구매 컨소시엄, 장기 프레임 계약을 결합하면 협력사의 운전자본 부담을 낮추고 납기 준수율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대형 프로젝트의 병목인 대형 단조·특수 합금, 해상 운반·중량물 하역 능력은 역내 특화 사업자와의 전략 제휴가 효과적입니다. 마지막으로 공급망 리스크 대시보드(원자재·환율·운임·정책지수·기상)를 도입해 임계치 초과 시 BOM 전환, 안전재고 증설, 운임 헤지, 출하 순서 변경 등의 자동 권고가 실행되도록 해야 합니다. 공급망의 본질은 ‘가시성→표준화→분산→금융→데이터’의 선순환입니다.

수출: 파이프라인, 금융, 규제·표준 정합성으로 승부

APEC 참가의 수출 효과는 리드 창출만으로는 제한적입니다. 수주로 연결하려면 ①섹터별 가치제안, ②재무 구조, ③규제·표준, ④사후 서비스가 톱니처럼 물려야 합니다. 원전 분야에서는 소형모듈원자로(SMR)·정지형 원전 서비스(LTO, 성능개선, 연료주기 최적화)·방사성폐기물 처리·해수담수화 결합 패키지가 유효합니다. 가스터빈·복합화력은 수소 혼소·탄소 포집(CCUS) 옵션을 표준 모듈로 포함해 ‘넷제로 호환’ 설계를 제안해야 합니다. 해상·육상 풍력은 대형화 트렌드에 맞춰 타워·블레이드 운송, 설치선·항만·전력계통 연계까지 통합 EPC 역량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재무 구조는 수주 확률의 절반을 좌우합니다. 수입국의 재정 여력과 전력요금 체계를 고려해 EPC+O&M+LTSA(장기 정비) 묶음, 성과기반 지급(PB), BOT·IPP·PF 등 다양한 구조를 테이블에 올리고, 한국·현지·다자개발은행(MDB)의 보증·대출·보험을 조합해 자본비용을 낮춰야 합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기술·건설·운영을 아우르는 ‘은행 가능(bankable) 패키지’를 표준화해 RFQ 초기 단계에서 리스크 분담 구조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규제·표준은 APEC 맥락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안전·환경·사이버·데이터 표준의 상호 인정과 로커라이제이션 요건(부가가치 기준, LCR) 대응 계획을 제시해야 심사 속도가 빨라집니다. 예컨대 원전·터빈 제어계는 IEC 62443(산업제어 보안), ISO 27001(정보보안), 전력망 연계는 IEEE·CIGRE 권고를 충족하는 참조 설계를 제시하고, 국가별 추가 요구는 어댑터 레이어로 흡수하도록 모듈화 합니다. 수출통제(EAR·ITAR), 제재, 인권·공급망 실사 법제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고객과 공유하면 ‘평판·법적’ 리스크 우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사후 서비스는 부품 공급망·현지 엔지니어 네트워크·원격 모니터링·예지정비를 결합한 TCO 절감 수치로 증명해야 하며, 계약에는 예비품 패키지·성능보증·가동률 SLA를 포함시켜 신뢰를 확보합니다. 리드 관리에서는 APEC 중 생성된 문의를 ①수요 유형(신설/개보수/서비스) ②예산·의사결정 구조 ③규제 허가 상태 ④재원 조달 가시성 ⑤현지 파트너 존재 여부로 스코어링 하고, 90일 내 PoC·현장 실사·사양 확정·조건부 제안서(BAFO)까지 끌어올리는 파이프라인 운용이 성패를 좌우합니다. ‘수출은 제안서 품질, 금융 구도, 표준 정합성, 서비스 신뢰’의 합입니다.

현지화: 규정 준수 기반의 ‘속도·비용·수용성’ 최적화

현지화는 단순 공장 설립이 아닌 규정 준수·공급망·인력·커뮤니티의 총체적 설계입니다. APEC 계기로 유망 국가를 선별했다면 ①세제·보조금(투자 인센티브, 법인세 감면, 관세 유예), ②입지·인프라(전력·용수·항만·도로), ③로컬 콘텐츠 요건(부가가치·부품 비율), ④인증·검사 체계, ⑤노동·환경 규제를 데이터로 비교해야 합니다. 초기에는 조립·시험·서비스 거점부터 구축해 관세·물류 리스크를 낮추고, 수요가 안착하면 주조·단조·가공 등 상위 공정을 단계적으로 이행하는 ‘스텝업 로드맵’이 유리합니다. 공급망 측면에서는 현지 핵심 협력사를 ‘품질 동반자’로 육성해야 합니다. 공정능력 지도화(능력지수, 결함코드, 리드타임), 공동 표준작업서, 공정 FMEA, 8D 문제해결 훈련을 통해 품질 문화를 이전하고, NPI 단계에서부터 공정 시뮬레이션·샘플 승인을 병행하면 론칭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인력 전략은 숙련과 안전이 핵심입니다. 용접·비파괴검사·전기·제어·풍력 해상 작업 등 특수 직무의 자격 인증·훈련 센터를 현지 대학·기술학교와 컨소시엄으로 운영하고, 다국어 안전·품질 교육과 디지털 작업지시(WI)를 도입해 표준 준수율을 높여야 합니다. 규정 준수는 허가·검사·가동의 속도를 좌우합니다. 환경영향평가(EIA), 산업안전, 소방, 방재, 전력·압력용기 검사, 방사선·핵물질 관리 등 ‘임계 허가’는 초기 설계 단계에서 허가조건을 반영해야 되돌림을 줄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사이버 보안은 산업제어시스템(ICS) 보안 아키텍처, 원격접속 통제, 로그·취약점 관리, 사고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한 체계로 설계해 고객과 규제당국 신뢰를 확보합니다. 커뮤니티 관점에서는 공정한 고용, 현지 조달 확대, 교육·안전·환경 프로젝트로 ‘지역 수용성’을 강화해야 장기 사업의 사회적 허가(SLO)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재무·거버넌스 측면에서는 합작·지분투자·장기 구매계약 등 다양한 구조를 비교해 IP·품질·납기 통제권을 잃지 않는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이전가격·배당·로열티 정책은 조세 협약과 일치시켜 세무 리스크를 낮추고, 컴플라이언스 핫라인·감사 체계를 가동해 부패·인권 리스크를 상시 관리합니다. 현지화의 성공 여부는 ‘비용 절감’이 아니라 납기·품질·규제 준수·지역 수용성의 종합 점수로 판단되어야 합니다. APEC 참가는 공급망의 탄력성, 수출의 ‘은행 가능’ 제안, 현지화의 규정 준수 역량을 종합 평가받는 무대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90일 로드맵으로 ①공급망 이중화·위험분담 계약, ②수출 금융 패키지·표준 정합 제안서, ③현지화 파일럿 거점·인증·인력 계획을 동시 추진해야 합니다. ‘가시성·표준화·분산·금융·데이터’라는 공급망의 원리, ‘제안·금융·표준·서비스’라는 수출의 공식, ‘준법·품질·안전·수용성’의 현지화 원칙이 결합될 때 APEC의 일시적 관심은 장기 수주와 현금흐름으로 전환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