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도 관세가 50%로 상향되는 시나리오에서 한국 수출기업은 원가·가격·통관·세금·계약 조건을 전면 재설계해야 합니다. 본 글은 관세 구조와 원가 계산법, 산업별 파급과 현지화 대안, 환율·헤지·계약·리스크 관리까지 실무 중심의 대응 전략을 정리합니다.
관세 구조와 원가: ‘착륙가’부터 정확히 본다
관세 급등 국면에서는 논쟁보다 숫자가 답입니다. 첫 단계는 ‘착륙가(현지 도착 원가)’를 표준 수식으로 고정하는 일입니다. 인도 수입과세의 기본 토대는 통상 CIF(보험·운임 포함 수입가격) 평가이며, 관세 산식은 ①기본관세(BCD), ②사회복지부과금(SWS), ③부가가치세 성격의 IGST(통합 소비세), ④품목별 추가부과금(농업·인프라 등)으로 겹겹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이 베이스라인을 만듭니다: CIF=FOB+해상/항공운임+보험료+항만취급료 일부, BCD=CIF×관세율(가정 50%), 관세가산가치=CIF+BCD(+SWS), IGST=관세가산가치 ×세율. 최종 착륙 가는 CIF+BCD+SWS+IGST+내륙물류+통관수수료+검사비+중개인 피로 산정합니다. 이때 ‘관세의 관세’ 구조로 체감세율이 명목 50%를 크게 상회할 수 있음을 전제해야 하며, HS코드 8 단위 재분류 가능성을 탐지해 낮은 세율·비관세 리스크 최소 경로를 찾습니다. 둘째, 가격전가와 마진 방어의 우선순위입니다. 납품가 인상(B2B)은 계약의 가격 조정 조항(관세·세금 변화 연동, 환율 슬라이딩, 원자재 수식)이 있을 때만 작동합니다. 신규 계약에는 ‘세금·관세 변화 시 상호 재협상’ 조항, 인도 내 물류비 상승분 반영, 증빙·심사 프로세스와 연계된 단계적 인상 메커니즘을 넣어야 합니다. B2C/리테일 채널은 소비자 수요 탄력성과 경쟁사의 가격 추이를 모니터링해 SKU별 ‘탄력 구간’을 분리하고, 번들·용량 차등·프리미엄 라인 신설로 평균판매단가(ASP)를 방어합니다. 셋째, 통관·평가 리스크를 낮추는 문서 체계입니다. 인보이스·패킹리스트·선하증권(B/L·AWB), 보험증권, 원산지증명서(CoO), 기술설명서(스펙·용도·HS 근거), 계약서·부속서(가격 조정·인도조건), 선적 전 검사 기록을 eSanchit/ICEGATE 업로드 표준과 매핑합니다. ‘품명·모델·시리즈·부품번호’ 표기를 HS 해석서와 일치시키고, 유사 품목 판례·선례결정(Advance Ruling)을 체크해 분쟁 가능성을 줄입니다. BIS/TEC/WPC/ARAI 등 강제 인증군(전자·통신·차량·안전)은 선적 전 승인 확보가 필수이며, 라벨링(원산지·MRP·제조월·수입자 정보) 누락은 벌금과 보류로 직결됩니다.
넷째, 라우팅과 인코텀즈 재검토입니다. FOB·CFR·CIF·CIP와 같은 기본형에서 DAP·DDP로 전환 시 발주자 관세 부담·현지 세금 등록·이행 위험이 달라집니다. DDP 채택은 ‘현지 간접세 등록·대리 납부·추징 리스크’를 동반하므로, 인도 내 파트너·3PL·수입대행사와 책임 분기점을 명문화해야 합니다. 반대로 CIF 유지 시에는 환율·운임 변동 헤지와 보험담보 확장을 통해 ‘CIF 베이스 변동’을 통제합니다.
산업별 파급과 현지화 전략: ‘들어갈 것’과 ‘두고 갈 것’
관세 50%는 모든 산업에 균등하지 않습니다. 부품·원재료 비중, 강제 인증 범위, 현지 조달 생태계 성숙도에 따라 타격과 대안이 갈립니다. 자동차·부품: 완성차 CBU는 관세 민감도가 최고 수준입니다. CKD/SKD로 분해 수출 후 인도 내 조립, 현지 OEM/티어1과의 모듈 공동개발, 부품 국산화율 단계 목표(예: 1년 30%, 3년 50%)를 정해 수입 금액·부품 수를 줄입니다. ARAI·AIS 인증·형식승인을 조기에 준비해 리드타임을 단축하고, 애프터마켓 채널은 ‘핵심 부품 현지화+고난도 부품 한국 공급’의 하이브리드 포트폴리오로 전환합니다. 전자·ICT: BIS·WPC·TEC 인증과 EPR(전자폐기물) 준수 비용이 더해져 관세상승의 부담이 커집니다. 보드/모듈은 현지 SMT·박스빌드 파트너를 확보하고, 핵심 칩·펌웨어·보안 모듈은 역외에서 공급하는 투트랙이 현실적입니다. FTWZ(자유무역창고구역) 활용으로 재수출·리워크·보세 보관을 최적화하고, 가격방어를 위해 ‘레퍼런스 디자인+커스텀 옵션’의 투레벨 SKU 전략을 채택합니다. 화학·소재: 항만 취급·위험물 규제가 비용·시간을 증폭시킵니다. 인도 내 혼합·희석·소분·라벨링 허용 범위를 검토해 가치가 낮은 공정을 현지로 이동, CIF 가치를 낮추고 관세 베이스를 줄입니다. 반덤핑 조사 가능성이 높은 품목(스페셜티 화학, 강판 등)은 원산 다변화·스와핑(한국산→제3 국산)·현지 생산 협약으로 리스크를 분산합니다. 기계·설비: 관세 증가로 총 소유비용(TCO)이 급등합니다. CAPEX→OPEX 전환(임대·금융리스·퍼포먼스 베이스드 서비스) 모델을 제시해 고객의 초기부담을 낮추고, 설치·시운전·A/S는 현지 법인·파트너가 수행하도록 설계합니다. 기술서비스 수익은 인도 원화환산 리스크를 고려해 달러·루피 혼합 청구와 환조항을 병기합니다. 현지화의 로드맵은 ①세제 인센티브(PLI·GST 크레디트·주정부 보조금), ②입지(셀프 유틸리티·물류·항만 접근성), ③공급망(현지 원자재·가공 파트너·품질 역량), ④인력(숙련·보전·안전), ⑤규제(환경·노동·소방·수출입)를 체크리스트로 수립합니다. 단독법인 vs 합작법인 vs 계약제조(EMS/OEM) 중 어떤 구조가 관세·세금·자본 효율을 최적화하는지 시뮬레이션하고, 초기에는 보세구역·SEZ·FTWZ를 활용해 유연성을 확보합니다. 브랜딩·채널 전략도 조정합니다. B2B는 대리점·SI 파트너의 기술지원 역량을 키워 ‘가격보다 총 설루션’의 가치를 부각하고, B2C는 용량·기능·컬러 등 로컬 선호를 반영한 SKU 로컬라이징으로 가격 민감도를 분산합니다. 국산 원재료·부품의 ‘품질·안전’ 메시지를 BIS·ISO 인증과 묶어 프리미엄 세그먼트를 공략하고, 가격경쟁 구간에서는 보증기간·서비스 레벨·소모품 패키지로 차별화합니다.
환율·계약·리스크: ‘살아남는 재무 운영’을 설계한다
관세 50% 시나리오에서 환율·금융·계약의 세부는 생존을 가릅니다. 환율·헤지: 청구통화를 USD로 고정하더라도 실질 수요는 INR 구매력에 좌우됩니다. USD/INR·USD/KRW 상관을 감안해 NDF·선물·옵션으로 다층 헤지를 설계하고, 단계적 커버리지(예: 3개월 50%, 6개월 30%, 12개월 20%)로 평균 헤지 비용을 낮춥니다. 납품 전(선적)·통관 후(수금) 구간의 환위험 분리, LC·DA·OA 조건별 수취 리드타임에 맞춘 롤 전략을 운용합니다. 가격·결제: ‘관세·세금 변경 시 가격 재협상’ 조항, ‘환율 밴드(±5%) 초과 시 가격 조정’, ‘운임 급등 Surcharge 전가’ 조항을 표준계약에 반영합니다. 대금회수는 LC(UCP600)·SBLC·보험부 신용거래를 병행하고, 선적 후 매출채권 보험과 포페이팅을 활용해 현금흐름을 안정화합니다. DDP 채택 시 현지 GST 등록·원천세·전자세금계산서 요건을 사전 점검하고, 세무대리인과 벌금·추징 리스크 분담을 문서화합니다. 조달·물류: 운임 스파이크에 대비해 항로·항만 다변화(Nhava Sheva/JNPT, Mundra, Chennai 등), 선복 장기계약, 멀티 포워더 구조를 도입합니다. 내륙 물류는 철도·트럭 혼합, e-way bill·주 간 통관 리스크 관리가 핵심입니다. 파손·도난·지연을 담보하는 화물보험 담보(ICC A/B/C, 창고간 운송)와 하역·보관자 책임보험을 보강합니다. 컴플라이언스·분쟁: HS 재분류, 덤핑 의혹, 과대·저가 신고 의심에 대한 사전 방어자료(동종 수입 사례, 공장 원가표, 거래 구조)를 준비하고, Advance Ruling·예규 회신을 확보해 예측 가능성을 높입니다. 기술·브랜드의 라이선스 수익이 있는 경우 이전가격 문서화로 과세 리스크를 차단하고, 데이터·소스코드 반출·암호화 수출 통제 준수 절차를 표준화합니다. 재무 KPI와 시나리오: ‘관세+세금+물류’ 상승분을 매출총이익률에 반영한 손익 민감도(환율 ±5%, CIF ±10%, 관세 ±10% p)를 월 단위로 업데이트하고, 제품군별 손익분기 매출·가격·물량 조합을 리포팅합니다. 90일 실행 로드맵은 ①HS·인증·계약 재점검, ②가격·헤지·운임 Surcharge 가이드 발행, ③현지 파트너·3PL·중개인 재정렬, ④SKU·채널별 리프라이싱, ⑤현지화 PoC 착수로 구성합니다. 동시에 ‘철수 라인’도 명확히 합니다. 목표 마진 하회 2분기 지속·현금전환일 수 악화·회수 리스크 증가 시 SKU 축소·대체시장 회로 가동, 현지 조달 전환을 즉시 실행합니다. 관세 50% 시나리오는 위기이자 재설계의 기회입니다. 착륙가 수식 고정→HS·인증·계약 재정렬→현지화·보세·SEZ 활용→환율·운임 다층 헤지→SKU·채널 리프라이싱의 순서로 ‘살아남는 체력’을 만드십시오. 숫자 기반 의사결정과 표준 계약·문서 체계를 갖춘 기업만이 인도 시장의 장기 성장과 함께 수익성을 지켜낼 수 있습니다.